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스테이블코인(stablecoin)은 일반적으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.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이 미국 달러(USD) 등 법정화폐에 고정되어 있어, 비트코인 같은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보다 안정적인 자산으로 사용됩니다.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는 USDT(테더), USDC(USD코인), BUSD(바이낸스 USD) 등이 있습니다.

1. 국내 거래소에서 구매
국내에서는 직접 스테이블코인을 사고파는 기능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주요 국내 거래소:
- 업비트 (Upbit)
- 빗썸 (Bithumb)
- 코인원 (Coinone)
- 고팍스 (GOPAX)
국내에서의 접근 방식:
- 원화(KRW)로 비트코인(BTC) 또는 이더리움(ETH) 구매
- 그 후, 해외 거래소로 전송 → 그곳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
2. 해외 거래소에서 직접 구매
해외 거래소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을 바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.
대표 거래소:
- 바이낸스 (Binance)
- 코인베이스 (Coinbase)
- 크라켄 (Kraken)
- 쿠코인 (KuCoin)
절차:
- 계정 가입 및 신원 인증(KYC)
- 원화를 사용해 암호화폐 구매 (또는 해외 카드 결제, P2P 거래 등)
- BTC/ETH 전송 또는 직접 원화 충전 후, USDT/USDC 등으로 교환
⚠️ 해외 거래소는 국내법 상 위험요소가 있으므로, 자산 보호와 세금 측면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.
3. P2P 방식으로 구매 (주의 요망)
바이낸스 같은 곳에 있는 P2P 마켓을 통해 개인간 직접 거래로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.
장점:
- 빠른 거래 가능
- 국내 은행 계좌 이용 가능
단점/주의:
- 사기 위험
- 거래소가 아닌 개인 거래 → 중재 서비스가 없다면 피해 가능성 있음
4. 메타마스크, 디파이 지갑 등에서 교환
직접 암호화폐 지갑을 가지고 있다면, 디파이(DeFi) 플랫폼을 통해 스왑(Swap) 기능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얻을 수 있습니다.
예:
- 메타마스크 + 유니스왑(Uniswap)
- 팬케이크스왑(PancakeSwap)
💡 참고 팁
- 가장 많이 쓰는 스테이블코인: USDT (테더)
- 바이낸스에서 USDT 구매 → 대부분의 코인 거래쌍에서 사용 가능
- 국내 거래소는 규제로 인해 스테이블코인 직접 거래가 어렵고, 중간 암호화폐를 이용해 해외로 보내는 방식이 일반적























반응형